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76

소뇌성 운동실조증 (Ataxia)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소뇌성 운동실조증 (Ataxia)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사람의 몸은 수많은 신경계의 협조 아래 정교하게 움직이며, 일상생활을 수행하게 됩니다. 우리가 걷고, 물건을 잡고, 글씨를 쓰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신경계가 정확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 특히 균형과 협응, 정밀한 근육 조절을 담당하는 부위가 바로 소뇌(cerebellum)입니다. 그런데 이 소뇌에 이상이 생기면 평형감각, 움직임의 정확성, 근육 조절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들을 통틀어 소뇌성 운동실조증(Cerebellar Ataxia)이라고 부릅니다.운동실조증(at·axia)은 문자 그대로 '질서 없음', '통제되지 않은 움직임'이라는 뜻을 지니며, 뇌나 신.. 2025. 5. 20.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치료 또한 매우 제한적인 난치성 질환이 존재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이하 ALS)입니다. 이 질환은 미국의 유명 야구선수 루 게릭(Lou Gehrig)의 이름을 따서 루 게릭 병이라고도 불리며, 근육을 조절하는 신경세포가 점차적으로 손상되고 파괴됨으로써 전신의 운동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입니다.ALS는 단지 개인의 운동 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환자와 가족 모두의 삶의 질.. 2025. 5. 19.
순환장애(Circulatory Disturbance)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순환장애(Circulatory Disturbance)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인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생리적 기능이 정교하게 조화를 이루며 작동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순환계통, 즉 혈액을 심장과 혈관을 통해 몸 전체로 운반하는 시스템은 생명 유지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산소와 영양분을 각 조직과 세포에 공급하고, 대사 산물과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배출 기관으로 이동시키는 이 복잡한 순환의 흐름은 중단 없이 유지되어야만 건강한 삶을 가능하게 합니다.하지만 이처럼 중요한 혈액 순환에 장애가 발생하면 인체는 즉각적으로 그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를 통틀어 순환장애(Circulatory Disturbance)라고 하며, 이는 단순한 혈액 공.. 2025. 5. 16.
대동맥협착성 고혈압 (Hypertensive Aortic Sten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대동맥협착성 고혈압 (Hypertensive Aortic Stenos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고혈압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만성질환 중 하나로,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이와 동시에 대동맥판 협착증(aortic stenosis, AS)은 대표적인 판막 질환 중 하나로, 노화와 함께 그 유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두 질환은 각각 독립적으로도 중요한 임상적 문제를 일으키지만, 대동맥 협착성 고혈압(Hypertensive Aortic Stenosis)은 이 둘이 중첩된 상태로, 단순한 고혈압이나 단일 판막질환보다 진단과 치료가 더 복잡하고 정밀한 접근이 요구됩니다.대동맥협착성 고혈압은 정확한 용어로는 '고혈압을 동반한 대.. 2025. 5. 15.
심혈관부하 장애 (Cardiovascular Overload Disorder)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심혈관부하 장애 (Cardiovascular Overload Disorder)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우리의 심장은 하루도 쉬지 않고 뛰며, 생명 유지를 위해 혈액을 온몸에 순환시키는 중심 기관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심장에 과도한 부담이 지속될 경우, 심장과 혈관계는 점차 그 기능에 이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심혈관부하 장애(Cardiovascular Overload Disorder)’입니다.이 질환은 단순히 심장의 기능 저하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전신적인 대사 상태, 체액 균형, 혈압 조절 체계 등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조용히 진행되다가 어느 순간 급격한 심부전, 고혈압성 위기, 폐부종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특히 고령 인구 증가.. 2025. 5. 14.
대동맥 신경성 장애(Aortic Neurogenic Dysfunction)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대동맥 신경성 장애(Aortic Neurogenic Dysfunction)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대동맥은 인체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동맥으로, 심장에서 전신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액을 운반하는 중심 혈관입니다. 이처럼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대동맥에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복잡한 신경 네트워크가 존재합니다. 이 중 자율신경계(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에 의한 조절은 혈압과 심박수, 혈류량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특히 대동맥궁(aortic arch)과 대동맥궁 근처에 위치한 압력 수용체(baroreceptor)는 혈압 조절의 중요한 센서 역할을 담당합니다.'대동맥 신경성 장애(Aortic Neurogenic Dysf.. 2025. 5. 13.
울혈성 말초부종 (Congestive Peripheral Edema)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울혈성 말초부종 (Congestive Peripheral Edema)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울혈성 말초부종(Congestive Peripheral Edema)은 임상 현장에서 매우 흔하게 관찰되는 증상으로, 특히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 간경변증, 신증후군, 정맥 기능부전 등의 다양한 전신 질환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초부종은 말초조직, 특히 하지(다리)나 손 등의 부위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중 "울혈성"이라는 용어는 대개 혈액 순환이 정체되어 정맥 내 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혈장 성분이 혈관 밖 조직으로 스며드는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을 반영합니다.말초부종.. 2025. 5. 12.
혈관성 말초신경병증 (Vascular Peripheral Neuropathy)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혈관성 말초신경병증 (Vascular Peripheral Neuropathy)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 의학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의 원인과 기전이 밝혀지면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 전략도 점차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흔하지 않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 형태 중 하나가 바로 혈관성 말초신경병증(Vascular Peripheral Neuropathy)입니다. 이는 혈관의 이상으로 인해 말초신경에 혈류 공급이 저하되거나 차단되어 발생하는 신경병증을 의미하며, 허혈성(ischemic) 손상이 주요한 병태생리적 기전입니다.혈관성 말초신경병증은 주로 혈관염(vasculitis.. 2025. 5. 9.
폐정맥 협착증(Pulmonary Vein Sten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폐정맥 협착증(Pulmonary Vein Stenos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폐정맥 협착증(Pulmonary vein stenosis, PVS)은 폐에서 심장으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하는 폐정맥이 좁아지는 드문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선천성 심장기형이나 심장 수술 이후에 이차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폐정맥 협착증은 매우 희귀하면서도 진행 속도가 빠르고 예후가 나쁜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폐정맥 협착증의 발병은 나이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영유아기 또는 소아기에 발병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영상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조기 발견이 가능해졌으며, 다양한 .. 2025. 5. 8.
대사성 혈관병증(Metabolic Vascular Disease)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대사성 혈관병증(Metabolic Vascular Disease)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 사회는 고도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생활 방식이 크게 변화하였습니다. 고열량, 고지방 위주의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요인으로 인해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 질환의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합병증 또한 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질병이 바로 ‘대사성 혈관병증(Metabolic Vascular Disease)’입니다.대사성 혈관병증은 말 그대로 대사 이상 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혈관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단일 질환이 아닌, 여러 대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혈관 내벽의 기능 장애,.. 2025. 5. 7.
대동맥 내막염(Aortic Endarterit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대동맥 내막염(Aortic Endarterit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대동맥 내막염(Aortic endarteritis)은 대동맥 내벽(endothelium)에 감염성 염증이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서, 주로 세균에 의해 유발되며 드물게는 진균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동맥 내막염은 단독으로 발생하기도 하나,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행 형태이거나 인공혈관 삽입 또는 동맥류 수술 이후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선천성 심혈관 기형을 가진 환자, 면역억제 상태의 환자, 반복적인 정맥 주사 사용 환자에서 특히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대동맥은 인체의 주요 혈관으로서,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중요한.. 2025. 5. 2.
국소성 심근허혈증(Localised Myocardial Ischemia)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국소성 심근허혈증(Localised Myocardial Ischemia)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인의 생활 방식은 빠른 속도와 높은 스트레스를 동반하면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심근허혈증(Myocardial Ischemia)은 심장질환의 초기 단계이자 심근경색 및 돌연사의 주요 원인이 되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이 중에서도 ‘국소성 심근허혈증(Localised Myocardial Ischemia)’은 심장 근육의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일어나는 혈류 부족 현상을 말하며, 전신적 또는 광범위한 심근허혈과는 구별됩니다.국소성 심근허혈은 명백한 증상을 보이지 않거나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어렵고 .. 2025. 4. 30.
혈관부종증후군(Vascular Edema Syndrome)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혈관부종증후군(Vascular Edema Syndrome)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 의학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질환들이 규명되고 있지만, 여전히 그 병태생리가 완전히 명확하지 않은 질병들도 존재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혈관부종증후군(Vascular Edema Syndrome)**입니다. 혈관부종증후군은 비교적 희귀하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환자에게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 혈관부종증후군이란?혈관부종증후군(Vascular Edema Syndrome)은 혈관 벽의 투과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혈액 내 체액이 주변 조직으로 빠져나가면서 심각한 부종을 초래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 2025. 4. 29.
동맥가성류(arterial pseudoaneurysm)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동맥가성류(arterial pseudoaneurysm)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동맥가성류(arterial pseudoaneurysm)는 의료현장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로, 특히 외상이나 혈관 중재 시술 이후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일반적인 동맥류(aneurysm)와는 발생 기전과 병태생리가 다르며, 치료 전략 또한 다르게 접근해야 합니다. 1. 동맥가성류의 정의:동맥가성류란 혈관벽이 손상되면서 혈액이 혈관 외부로 누출되었지만, 주변 조직에 의해 혈종이 형성되고 이 혈종이 외벽처럼 작용하여 혈류와 연결된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인 동맥류는 혈관의 모든 층(intima, media, adventitia)이 확장되어 생.. 2025. 4. 28.
심장신경증(Cardiac Neur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심장신경증(Cardiac Neuros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정신적 긴장과 스트레스는 다양한 신체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흔히 발생하는 증상 중 하나는 가슴의 두근거림, 흉부 압박감, 호흡 곤란 등 심장과 관련된 증상들입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심장 질환을 의심하게 만들지만, 실제로 심장에는 구조적 혹은 기능적 이상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상태를 바로 ‘심장신경증(cardiac neurosis)’이라고 합니다.심장신경증은 ‘신경성 심장증(Neurocirculatory asthenia)’ 혹은 ‘기능성 심장장애(Functional cardiac disorder)’라고도 불리며, 신.. 2025. 4. 25.
동맥질환 합병증(Arterial Disease Complication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동맥질환 합병증(Arterial Disease Complication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 사회에서 고령화,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심혈관 질환의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동맥질환(arterial disease)은 심혈관계의 주요 질환 중 하나로, 전신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동맥에 병적 변화가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질환은 단순히 동맥의 기능 저하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함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동맥질환은 흔히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을 중심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협심증,.. 2025. 4. 24.
심장석회화(Cardiac Calcification)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심장석회화(Cardiac Calcification)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 사회에서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 중에서 최근 임상적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심장석회화(Cardiac Calcification)"입니다.심장석회화는 말 그대로 심장 구조물 또는 그 주변 조직에 칼슘이 비정상적으로 침착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단순한 노화의 결과로 간주되기도 하나, 심장석회화는 심장 기능의 저하, 혈류 장애, 심부전, 심각한 부정맥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병리학적 상태로서 매우 중요한 의학.. 2025. 4. 23.
대동맥 판막 역류 (Aortic valve regurgitation)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대동맥 판막 역류 (Aortic valve regurgitation)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대동맥 판막 역류(Aortic Valve Regurgitation, AVR)는 심장의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한 대동맥 판막(aortic valve)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심장에서 대동맥으로 나간 혈액이 다시 좌심실로 역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역류는 좌심실에 과도한 부하를 주게 되어 심장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대동맥 판막 역류는 경증일 경우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지만, 중증으로 진행되면 심부전, 부정맥, 심장확장증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적절한 시기에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환자의 .. 2025. 4. 22.
대동맥 판막 협착 (Aortic valve sten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대동맥 판막 협착 (Aortic valve stenos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심장은 인체의 중심적인 순환 기관으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온몸으로 공급하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네 개의 방(좌심방, 우심방, 좌심실, 우심실)과 네 개의 판막(승모판, 삼첨판, 폐동맥판, 대동맥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대동맥 판막(Aortic Valve)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흐를 때 열리고 반대 방향으로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닫히는 기능을 합니다.대동맥 판막 협착증(Aortic Valve Stenosis, AS)은 이 대동맥 판막이 여러 원인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좌심실이 대.. 2025. 4. 21.
혈전미세혈관병증 (Thrombotic Microangiopathy)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혈전미세혈관병증 (Thrombotic Microangiopathy)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혈전미세혈관병증(Thrombotic Microangiopathy, TMA)은 주로 모세혈관 및 세동맥 수준의 소혈관에 혈전이 형성되어, 이에 따라 조직과 장기에 허혈성 손상을 유발하는 희귀하고 중대한 의학적 상태입니다. 이 질환은 비특이적인 증상에서 시작하여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없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TMA는 단일 질환이라기보다는 공통된 병태생리를 공유하는 여러 질환들의 병리학적 스펙트럼으로, 대표적으로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TTP), 용혈성요독.. 2025. 4. 18.
림프누출 증후군 (Lymph Leakage Syndrome)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림프누출 증후군 (Lymph Leakage Syndrome)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인체는 복잡한 순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림프계(lymphatic system)입니다. 림프계는 혈액계와 함께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면역기능과 체액 조절에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림프관을 통해 림프액(lymph fluid)이 순환하고, 이 림프액은 조직에서 흡수된 단백질, 세포 잔해, 병원균 등을 운반하여 정맥계로 되돌리는 역할을 합니다.이러한 림프계에 이상이 생겨 림프액이 정상적인 경로를 벗어나 조직 내, 장기, 또는 외부로 새어 나가는 현상을 ‘림프누출 증후군(Lymph leakage syndrome)’이라고 합니다. 이 .. 2025. 4. 17.
폐혈관 과민증(Pulmonary Vascular Hyperreactivity)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폐혈관 과민증(Pulmonary Vascular Hyperreactivity)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폐혈관 과민증(Pulmonary Vascular Hyperreactivity)은 폐혈관이 다양한 자극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수축 반응을 보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일시적인 혈관 수축을 넘어, 장기적으로는 폐혈관의 재형성(remodeling)을 유도하여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PH)이라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정상적인 폐혈관은 산소 농도, 자율신경 자극, 혈류역학적 요인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며, 체내 산소 교환과 혈류 재분배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특정한 병.. 2025. 4. 16.
정맥경화증(phleboscler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정맥경화증(phlebosclerosis) 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우리 몸속을 흐르는 혈액은 심장에서 각 조직과 기관으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며, 다시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회수하여 순환계를 통해 정화됩니다. 이 순환의 큰 축을 담당하는 것은 동맥(artery)과 정맥(vein)입니다. 동맥은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을 전달하는 혈관이고, 정맥은 그 반대로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혈관 모두 건강한 상태를 유지해야 인체는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흔히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은 잘 알려져 있지만, ‘정맥경화증(phlebosclerosis)’은 비교적 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그만큼 드문 질환.. 2025. 4. 15.
정맥염성 혈전증 (Phlebitic Thromb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정맥염성 혈전증 (Phlebitic Thrombos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정맥염성 혈전증(Phlebitic Thrombosis)이란, 정맥 내벽에 염증(Phlebitis)이 생기고 이로 인해 혈액이 정맥 안에서 응고되어 혈전(Thrombus)이 형성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질환은 단순히 정맥염이나 혈전증 중 하나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염증과 혈전이 동시에 발생하는 복합적인 질환으로, 더욱 면밀한 관리와 치료가 요구됩니다.정맥염성 혈전증은 크게 표재성 정맥염성 혈전증과 심부정맥염성 혈전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심부정맥염성 혈전증(Deep Vein Thrombophlebitis)은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인 폐색전증(Pulmonary Embo.. 2025. 4. 14.
미세출혈증(Microhemorrhage Syndrome)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미세출혈증(Microhemorrhage Syndrome)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인체는 수많은 혈관 네트워크를 통해 산소와 영양소를 조직에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생리학적 균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혈관계는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며, 특히 미세혈관은 모세혈관을 포함하여 세포 단위에 가장 근접해 있는 생명 유지의 최전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혈관에서 발생하는 아주 작은 출혈 현상, 즉 미세출혈증(Microhemorrhage Syndrome)’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인체 내 여러 병리적 이상 상태를 조기에 알리는 중요한 지표입니다.미세출혈증이란, 이름 그대로 조직 내 또는 장기 내의 아주 작은 혈관들이 파열되거나 투과성이 증가함으로써 혈액.. 2025. 4. 11.
척추동맥 협착증(Vertebral Artery Sten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척추동맥 협착증(Vertebral Artery Stenos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인체에서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뇌는 전체 체중의 약 2%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우리 몸 전체 혈류량의 약 20%를 소비할 정도로 에너지 소비가 많은 기관입니다. 이러한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주요 혈관 중 하나가 바로 척추동맥(vertebral artery)입니다.척추동맥은 양측 쇄골하동맥(subclavian artery)에서 분지되어 경추(목뼈)를 따라 상행하며, 두개골 기저부에서 좌우 두 동맥이 만나 기저동맥(basilar artery)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혈관은 뇌간(brainstem), 소뇌(cerebellum),.. 2025. 4. 10.
가성동맥류(Pseudoaneurysm)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가성동맥류(Pseudoaneurysm)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우리 몸의 혈관계는 심장과 각 장기를 연결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대사 산물을 회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맥은 심장에서부터 출발하여 고압의 혈액을 전신으로 운반하는 중요한 통로이기 때문에, 이 혈관의 구조적 안정성은 생명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외상, 감염, 의학적 시술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동맥이 손상될 경우, 이로 인한 병리적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 가운데 동맥류(aneurysm)는 동맥 벽이 확장되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며, 이와 비슷하지만 해부학적으로는 전혀 다른 병변이 바로 가성동맥류(Pseudoaneurys.. 2025. 4. 9.
이소성 심박동(Ectopic Heartbeat)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이소성 심박동(Ectopic Heartbeat)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우리 몸의 심장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으로, 매 순간 규칙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산소와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을 전신으로 공급합니다. 이러한 심장의 수축은 심장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전기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는 심장의 우심방 상부에 위치한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이 이러한 전기 자극을 생성합니다. 이 자극은 심방과 심실을 순차적으로 자극하며, 일정하고 안정적인 리듬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리듬을 우리는 정상 동율동(normal sinus rhythm)이라고 부릅니다.하지만 때로는 정상적인 자극 생성 부위가 아.. 2025. 4. 8.
미세혈관 협착증(Microvascular Stenosis)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미세혈관 협착증(Microvascular Stenosis)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현대 사회의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라 심혈관 질환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이라고 하면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질환을 떠올리게 되며, 이는 주로 심장의 큰 혈관인 관상동맥의 협착이나 폐색에 의해 발생합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심장이나 다른 주요 장기에서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상으로는 뚜렷한 병변이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허혈성 통증이나 기능 저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미세혈관 협착증(Microvascular Stenosis) 또는 미세혈관 기능장애(Microvasc.. 2025. 4. 7.
혈관섬유종(Vascular Fibroma)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혈관섬유종(Vascular Fibroma)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혈관섬유종(Vascular Fibroma)은 혈관과 섬유 조직이 함께 형성되는 양성 종양(Benign tumor)입니다. 이는 주로 피부나 점막 조직에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내부 장기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조직학적으로 섬유아세포(Fibroblast)와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가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며, 대개 악성 변이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종양의 크기 증가나 위치에 따라 기능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혈관섬유종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일반적인 양성 종양과 구별되는 특성을 가집니다. 본 연구에서는 혈관섬유종의 원인, 병리학적 특성,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체계적으.. 2025.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