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계통의 질환

관상동맥 연축 (Coronary Artery Spasm)

by 김선생의 건강교실 2025. 3. 18.
반응형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관상동맥 연축 (Coronary Artery Spasm)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상동맥 연축(Coronary Artery Spasm, CAS)은 일시적인 관상동맥 수축으로 인해 혈류가 제한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협심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급성 심근경색이나 심정지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과 달리, 관상동맥 연축은 혈관 내막의 기능 이상과 혈관벽의 과민반응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CAS는 특히 아시아 인구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진단 및 치료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연축은 비정상적인 혈관 수축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혈관 내강이 좁아지고 혈류 공급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수축은 일반적으로 자율신경계의 조절 이상, 내피 기능 장애, 또는 평활근의 과도한 반응성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환자는 휴식 중에도 협심증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특히 야간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병태생리학적 기전:

관상동맥 연축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은 다음과 같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1-1) 내피세포 기능 이상:

내피세포는 혈관 확장과 수축을 조절하는 다양한 물질을 분비합니다. 특히, **산화질소(NO, Nitric Oxide)**는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내피세포 기능이 손상되면 NO의 분비가 감소하고, 혈관 수축을 유발하는 엔도텔린-1(Endothelin-1) 같은 물질이 증가하여 관상동맥 연축을 촉진합니다.

 

1-2) 자율신경계 조절 이상: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이 깨지면 관상동맥의 과도한 수축 반응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특히, 교감신경의 과활성이 평활근 세포의 수축을 유도하고, 부교감신경의 기능 저하는 혈관 이완을 어렵게 만듭니다.

 

1-3) 평활근의 과도한 반응성:

관상동맥 평활근의 과도한 수축 반응성은 관상동맥 연축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정 환자에서는 평활근이 외부 자극(예: 흡연, 스트레스, 저온 노출)에 대해 과민 반응을 보이며, 이는 혈관의 급격한 수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원인 및 위험 요인:

2-1) 주요 원인:

a. 흡연: 흡연은 혈관 수축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니코틴과 일산화탄소가 내피세포 기능을 저하시켜 CAS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b. 스트레스 및 교감신경 활성 증가: 정신적 스트레스나 과도한 교감신경 활성은 혈관 수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c. 음주: 과도한 음주는 혈관 조절 기능에 영향을 미쳐 연축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d. 고지혈증: 높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혈관 내피 기능을 악화시키고 혈관 수축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e. 약물: 특정 약물(예: 에르고타민, 코카인 등)은 관상동맥 연축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2-2) 관련 질환:

a. 변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 Prinzmetal’s Angina): CAS는 변이형 협심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b. 고혈압 및 죽상경화증: 동맥경화성 병변이 동반된 환자는 CAS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임상 증상:

CAS의 주요 증상은협심증(Angina)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3-1) 흉통:

주로 밤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하며, 짧은 시간 동안 강한 흉통이 나타납니다.

 

3-2) 운동과 무관한 발생:

운동과 무관하게 발생하며, 휴식 중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3-3) 일시적인 증상 완화: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투여 시 신속한 증상 완화가 나타납니다.

 

4. 진단 방법:

4-1) 심전도(ECG):

CAS 발생 시 일시적인 ST 분절 상승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4-2) 관상동맥 조영술:

아세틸콜린이나 에르고노빈을 이용한 유발 검사를 통해 연축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3) 홀터 모니터 검사:

24시간 동안 심장 활동을 기록하여 야간에 발생하는 CAS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5. 치료 및 관리 방법:

5-1) 약물 치료:

a. 칼슘 채널 차단제(CCB):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켜 연축을 예방합니다.

b. 질산염 제제(Nitrates): 혈관을 확장하여 CAS 발생을 억제합니다.

c. 스타틴(Statins): 내피 기능을 개선하고 혈관 염증을 감소시킵니다.

 

5-2) 생활 습관 개선:

금연 및 금주

스트레스 관리 및 심리적 안정

균형 잡힌 식단 및 규칙적인 운동

 

5-3) 중재적 치료: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중증 환자의 경우 스텐트 삽입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연축(Coronary Artery Spasm)은 내피 기능 이상, 자율신경계 조절 장애 및 평활근의 과민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협심증 및 심근경색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흡연, 스트레스, 고지혈증 등의 위험 요인을 조절하고, 칼슘 채널 차단제와 같은 적절한 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CAS의 정확한 기전을 더 깊이 연구하고,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관상동맥 연축 (Coronary Artery Spasm)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