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계통의 질환

급성 폐심장증(Acute Cor Pulmonale)

by 김선생의 건강교실 2025. 3. 11.
반응형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급성 폐심장증(Acute Cor Pulmonale)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급성 폐심장증(Acute Cor Pulmonale)은 폐혈관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함으로 인해 우심실 기능 부전이 초래되는 심각한 임상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급성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과 같은 폐혈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며, 심한 경우 심부전 및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폐심장증은 만성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으나, 급성 형태는 짧은 시간 내에 우심실 기능이 저하되어 심각한 혈역학적 불안정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급성 폐심장증은 조기에 정확히 진단하고 신속하게 치료하는 것이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병태생리:

1-1) 우심실 기능과 폐혈관 저항의 관계:

급성 폐심장증의 가장 중요한 병태생리적 특징은 급격한 폐혈관 저항 증가로 인해 우심실 부담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입니다. 정상적인 우심실은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기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갑작스럽게 폐동맥 저항이 증가하면 우심실이 적응하지 못하고 급성 심부전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우심실의 과부하가 심할 경우, 좌심실 충만에도 영향을 미쳐 전신 혈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1-2) 주요 원인:

급성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 급성 폐심장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주로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에서 유래한 혈전이 폐동맥을 막아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합니다.

 

a.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중증 폐질환으로 인해 폐포와 폐모세혈관의 손상이 발생하여 폐혈관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b. 기계환기 및 양압환기:

인공호흡기의 양압 기계환기(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PEEP)가 폐혈관 저항을 높여 우심실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c. 급성 폐동맥 고혈압(Acute Pulmonary Hypertension):

원인 불명의 급성 폐고혈압으로 인해 폐혈관 저항이 급상승하여 우심실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진단:

2-1) 임상 증상:

급성 폐심장증을 의심할 수 있는 주요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a. 급성 호흡곤란(Dyspnea):

가장 흔한 증상으로, 갑작스러운 호흡 곤란이 발생합니다.

 

b. 흉통(Chest Pain):

주로 협심증과 유사한 흉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 청색증(Cyanosis):

혈액 내 산소포화도가 감소하여 피부 및 점막이 푸르게 변할 수 있습니다.

 

d. 빈맥(Tachycardia) 및 저혈압(Hypotension):

혈역학적 불안정이 동반될 경우, 빈맥 및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2) 영상 및 검사:

a.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ECG):

우심실 비대 및 심한 경우 S1Q3T3 패턴(제1유도에서 S파, 제3유도에서 Q파 및 T파 역전) 확인이 가능합니다.

 

b. 흉부 X-ray:

폐혈관 확장 및 우심실 확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우심실 확장, 벽 운동 이상 및 폐동맥 압력 상승을 시각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d. 혈액 검사:

D-dimer 상승은 혈전 형성을 시사할 수 있으며, BNP(B-type natriuretic peptide) 상승은 심부전 동반 가능성을 의미합니

 

다.

 

e. CT 폐혈관조영술(CT Pulmonary Angiography, CTPA):

급성 폐색전증 진단의 표준 검사로 사용됩니다.

 

3. 치료:

3-1) 응급 치료:

a. 산소 공급(Oxygen Therapy):

저산소증을 완화하여 폐혈관 수축을 방지합니다.

 

b. 수액 치료(Fluid Therapy):

저혈압이 동반될 경우 신중한 수액 공급이 필요하나, 과도한 수액 투여는 우심실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c. 혈압 유지(Vasopressors 사용 가능):

저혈압이 지속될 경우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같은 승압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2) 항응고 치료(Anticoagulation Therapy):

저분자량 헤파린(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 또는 비타민 K 길항제(Warfarin)를 사용하여 혈전 확장을 방지합니다.

급성기에는 비경구 항응고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이후 경구 항응고제로 전환합니다.

 

3-3) 혈전 용해 요법(Thrombolysis):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의 경우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PA)를 사용하여 혈전을 용해할 수 있습니다.

 

3-4) 수술 및 중재적 치료:

a. 혈전제거술(Embolectomy):

비침습적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을 경우 수술적 혈전 제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b. 체외막산소화장치(ECM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중증 저산소증 환자의 생명 유지 장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예후 및 예방:

4-1) 예후: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경우 생존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우심실 기능이 회복되는지가 주요 예후 인자로 작용합니다.

 

4-2) 예방: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을 위한 조치: 조기 보행, 항응고제 사용 및 압박 스타킹 착용이 권장됩니다.

위험군 환자의 정기적인 혈전 예방 치료: 장기적인 항응고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급성 폐심장증은 폐혈관 저항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이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환자의 생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조기 개입을 통해 생존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위험 인자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이렇게 급성 폐심장증(Acute Cor Pulmonale)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