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계통의 질환

심장성 천식(Cardiac Asthma)

by 김선생의 건강교실 2025. 3. 17.
반응형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심장성 천식(Cardiac Asthma)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장성 천식(Cardiac Asthma)은 일반적인 기관지 천식(Asthma)과는 다른 병리 기전을 통해 발생하는 호흡 곤란 증후군입니다. 이는 주로 좌심부전(Left Heart Failure)으로 인해 폐부종(Pulmonary Edema)이 발생하면서 기도 폐쇄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인 기관지 천식은 알레르기 반응이나 기관지 과민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면, 심장성 천식은 심장의 기능 저하로 인해 폐의 혈액 정체가 초래되면서 기관지 부종과 기도 저항 증가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1. 심장성 천식의 원인:

심장성 천식의 주요 원인은 좌심부전으로, 이는 다양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고혈압성 심부전(Hypertensive Heart Failure):

장기간의 고혈압으로 인해 좌심실의 부담이 증가하면서 심장 기능이 저하됩니다.

 

1-2) 허혈성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 및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으로 인해 심근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장 기능이 약화됩니다.

 

1-3) 판막질환(Valvular Heart Disease):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승모판 폐쇄부전(Mitral Regurgitation) 등 판막 이상이 심부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1-4) 심근병증(Cardiomyopathy):

심장근육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수축 기능이 저하됩니다.

 

1-5) 부정맥(Arrhythmia):

심박수 이상(예: 심방세동, 빈맥성 부정맥)으로 인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심장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병리 기전:

심장성 천식의 병리 기전은 좌심부전으로 인해 폐정맥(Pulmonary Veins)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폐모세혈관에서 혈장이 누출되면서 폐부종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비롯됩니다. 이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좌심실 기능 저하 → 좌심실에서 혈액이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여 혈액이 정체됩니다.

 

b. 좌심방 및 폐정맥 압력 증가 → 폐정맥 내 혈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폐모세혈관 내 정맥압이 상승합니다.

 

c. 폐모세혈관 압력 상승 → 혈장이 폐포로 누출되어 폐부종이 발생하게 됩니다.

 

d. 기도 저항 증가 → 폐부종으로 인해 기관지 주변 조직이 부어오르면서 기도가 좁아지고, 호흡 곤란과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타납니다.

 

e. 말초 산소 교환 저하 → 폐포 내 산소 교환이 원활하지 않아 저산소증(Hypoxia)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임상적 특징:

심장성 천식 환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을 보입니다.

3-1) 야간 호흡 곤란(Paroxysmal Nocturnal Dyspnea, PND):

주로 야간에 누워 있을 때 증상이 악화되며, 앉거나 상체를 세우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3-2) 기좌호흡(Orthopnea):

누웠을 때 호흡 곤란이 심해지고, 상체를 세운 상태에서 숨쉬기가 편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3-3) 천명음(Wheezing):

기관지 수축으로 인해 숨 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3-4) 분홍빛 거품이 섞인 객담(Pink Frothy Sputum):

폐부종으로 인해 객담이 분홍빛을 띠며 거품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3-5) 말초부종(Peripheral Edema) 및 체중 증가:

심부전이 진행되면서 하지 부종과 체액 정체로 인해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진단:

심장성 천식의 진단은 임상 증상과 병력 청취, 신체 검사, 영상학적 검사, 심장 기능 검사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루어집니다.

 

4-1) 청진 검사:

폐에서 수포음(Crackles) 또는 천명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4-2) 흉부 X-ray:

폐부종, 심비대(Cardiomegaly) 등의 소견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4-3) 심전도(EKG):

심부전을 유발하는 부정맥, 허혈성 변화 등을 확인합니다.

 

4-4)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심장의 구조 및 기능을 평가하여 심부전 여부를 진단합니다.

 

4-5) BNP(B-type Natriuretic Peptide) 검사:

심부전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5. 치료 및 관리:

심장성 천식의 치료는 근본적으로 심부전을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5-1) 이뇨제(Diuretics):

폐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5-2) 혈관확장제(Vasodilators):

혈관을 확장시켜 심장의 부담을 줄입니다.

 

5-3) 베타 차단제(Beta-blockers):

심박수를 조절하고 심장의 부담을 경감시킵니다.

 

5-4) 항부정맥제 및 디기탈리스(Digitalis):

부정맥을 조절하여 심장 기능을 안정화합니다.

 

5-5) 생활 습관 관리:

저염식 및 적절한 수분 섭취.

규칙적인 운동과 체중 조절.

금연 및 절주.

 

심장성 천식은 좌심부전으로 인해 폐부종이 발생하면서 기관지 천식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기관지 천식과는 달리 주요 원인이 심장의 기능 저하이며, 이에 따라 적절한 심부전 치료를 통해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급성 폐부종 및 심부전 악화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환자는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본 글을 통해 심장성 천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환자 및 의료 종사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심장성 천식(Cardiac Asthma)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