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계통의 질환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by 김선생의 건강교실 2024. 12. 23.
반응형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은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심장 질환 중 하나로, 태아 발달 과정에서 좌심실과 우심실을 구분하는 심실중격에 구멍이 생겨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흐르게 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결손은 선천성 심장 질환의 약 20~3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며, 결손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양합니다.

심실중격에 결손이 생기면 산소가 풍부한 좌심실의 혈액이 산소가 부족한 우심실로 흘러 들어가 폐혈관에 과도한 혈류를 유발합니다. 이러한 혈류 역학의 변화는 심장과 폐에 부담을 주고,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VSD의 정의와 병리생리학:

심실중격결손은 심장의 내부 구조에서 발생하는 기형으로, 구멍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혈류의 영향을 다르게 받습니다.

VSD의 유형: VSD는 심실중격의 구멍이 생긴 위치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뉩니다:

 

1-1) 막성부 결손(Perimembranous VSD):

심실중격 상단에 위치하며, 가장 흔한 형태로 전체 VSD의 75~80%를 차지.

 

1-2) 근성부 결손(Muscular VSD):

심실중격 근육 부위에 구멍이 생긴 형태로, 자발적으로 닫힐 가능성이 높음.

 

1-3) 입구부 결손(Inlet VSD):

삼첨판이나 승모판 근처에 위치하며, 드물게 발생.

 

1-4) 출구부 결손(Outlet VSD):

심실 상단의 대동맥과 폐동맥 근처에 발생하며, 동양인에서 더 흔함.

 

2) 병리생리학적 변화:

VSD로 인해 좌심실에서 우심실로 혈액이 역류(좌우단락, Left-to-right shunt)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2-1) 폐혈류 증가:

폐로 유입되는 혈액량이 많아지며 폐 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이 발생.

 

2-2) 심장 과부하:

좌심실과 우심실 모두 추가적인 일을 하게 되어 심장비대(Cardiomegaly)로 이어짐.

 

2-3) 산소 공급의 저하:

중증인 경우, 혈액이 제대로 산소화되지 않아 체내 조직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짐.

 

3. 원인:

3-1) 선천적 원인:

대부분의 VSD는 태아 발달 과정에서 심장 중격 형성의 실패로 인해 발생합니다.

유전적 이상:

다운증후군, 에드워드증후군(18번 염색체 삼염색체)과 같은 염색체 이상.

디조지증후군(22q11.2 결손)과 같은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

가족력: 선천성 심장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 확률이 증가.

 

3-2) 환경적 요인:

태아 발달 초기의 외부 환경도 VSD 발생에 기여합니다.

산모의 감염: 풍진 바이러스나 톡소플라즈마 감염.

산모의 약물 복용: 항간질제나 항생제의 부적절한 사용.

산모의 생활 습관: 음주, 흡연, 약물 남용 등.

 

4. 증상:

VSD의 증상은 결손 크기와 합병증 유무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4-1) 작은 결손(Small VSD):

대부분 무증상으로 발견.

신체 성장과 발달에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음.

주로 청진 시 심잡음으로 진단.

 

4-2) 중간 크기의 결손(Medium VSD):

호흡곤란, 빠른 심박동, 잦은 피로.

체중 증가 저하, 식사 중 과도한 피로.

 

4-3) 큰 결손(Large VSD):

유아기부터 심각한 증상:

빠르고 얕은 호흡.

땀을 많이 흘림.

심부전 증상(부종, 심장비대).

잦은 폐렴이나 기관지염 발생.

 

5. 진단:

5-1) 청진:

의사는 심잡음(주로 수축기 잡음)을 통해 VSD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5-2) 영상검사: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가장 유용한 검사로 결손의 크기, 위치, 혈류 역류를 확인.

흉부 X선: 폐혈류 증가나 심장비대를 확인.

MRI/CT: 심장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시각화.

 

5-3) 심장 카테터 삽입술:

혈압과 산소 포화도를 직접 측정하여 폐 고혈압의 정도와 결손의 영향을 평가.

 

6. 치료:

VSD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결손의 심각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6-1) 보존적 치료:

증상이 없는 작은 VSD는 대부분 자연적으로 닫힐 수 있으므로 경과를 관찰.

 

6-2) 약물 치료:

이뇨제: 체내 과잉 체액 제거.

ACE 억제제: 심장의 부담 감소.

디곡신: 심장의 수축력을 강화.

 

6-3) 수술적 치료:

개심술: 큰 결손은 외과적으로 봉합.

경피적 중재술: 카테터를 통해 중재적 폐쇄술을 시행.

 

6-4) 합병증 관리:

감염 예방: 심내막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투여.

폐 고혈압 치료: 조기 개입이 중요.

 

7. 예후:

7-1) 작은 결손:

대부분 자연적으로 닫히며,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7-2) 큰 결손:

수술을 통해 치료하면 대부분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지만, 치료가 지연되면 심부전, 폐혈관 저항 증가 등 장기적인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7-3) 장기 관리:

치료 후에도 정기적으로 심장 검사를 받아야 하며, 합병증 예방이 중요합니다.

 

심실중격결손(VSD)은 비교적 흔한 선천성 심장 질환으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가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특히 환자와 가족의 이해를 돕고, 장기적인 관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성공적인 예후를 보장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렇게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