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계통의 질환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증후군 (SIADH: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by 김선생의 건강교실 2024. 11. 14.
반응형

김 선생의 건강교실 이번 포스팅에는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증후군 (SIADH: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에 관하여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는 체내의 수분 균형 조절에 관여하는 항이뇨호르몬(ADH, vasopressin)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발생하는 내분비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체내의 나트륨 농도가 과도하게 희석되어 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키며, 전신에 다양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체내의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이 유지되지만, SIADH에서는 ADH의 비정상적인 분비가 체내 수분 저류를 야기해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태는 뇌졸중, 폐 질환, 종양, 특정 약물의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신경계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1. 항이뇨호르몬(ADH)과 SIADH의 병리생리학:

ADH는 시상하부에서 합성되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장 삼투압과 혈액량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DH는 신장에서 물의 재흡수를 증가시켜 소변량을 줄이고 체내의 수분을 유지하게 합니다. 정상적으로는 삼투압이 상승하거나 혈액량이 줄어들었을 때 ADH가 분비되어 수분 재흡수를 촉진하지만, SIADH에서는 삼투압의 변화와 관계없이 ADH가 비정상적으로 분비됩니다.

SIADH의 병리기전은 ADH의 과다 분비가 지속되면서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가 과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혈장 내 수분이 과다해져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혈장 내 수분이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며, 이는 혈액의 삼투압을 낮추고 체액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게 되어 뇌부종 및 기타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합니다. 또한, SIADH에서는 소변의 농도가 높아지며, 이러한 수분의 불균형이 계속해서 체내의 다양한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2. SIADH의 원인:

SIADH의 원인은 크게 중추신경계 질환, 폐 질환, 약물, 기타 내과적 질환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인은 ADH 분비에 영향을 주어 비정상적인 수분 저류를 유발합니다.

 

a. 중추신경계 질환:

뇌출혈, 뇌졸중, 뇌염, 외상성 뇌손상 등은 SIADH의 주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중추신경계가 손상되면 ADH 분비를 조절하는 뇌하수체 후엽의 기능이 영향을 받게 되어 ADH가 비정상적으로 분비됩니다. 뇌종양의 경우에도 비슷한 기전으로 SIADH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b. 폐 질환:

폐렴, 폐암, 결핵 등의 질환이 SIADH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세포폐암(Small Cell Lung Cancer, SCLC)은 ADH를 생성할 수 있는 종양 세포를 포함하고 있어, 비정상적으로 ADH를 분비하게 됩니다. 또한, 폐 감염과 염증은 ADH 분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c. 약물:

특정 약물도 SIADH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항우울제(특히 SSRI), 항암제(예: 시클로포스파미드), 항경련제(예: 카르바마제핀)와 같은 약물은 ADH의 분비를 자극하거나 신장의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키며, 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기타 질환: SIADH는 간경변, 심부전, 췌장염, HIV 감염과 같은 다양한 내과적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체내의 전신적 염증 반응과 함께 ADH가 과도하게 분비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3. SIADH의 증상:

SIADH의 증상은 주로 저나트륨혈증에 의한 것으로, 저나트륨혈증의 정도에 따라 증상의 심각도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경증 증상: 혈중 나트륨 농도가 경미하게 낮아질 때는 피로감, 식욕 부진,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인 소화기계 증상과 유사하여 SIADH가 진단되지 않고 지나칠 수 있습니다.

 

a. 중등도 증상:

저나트륨혈증이 진행되면 두통, 혼란, 기억력 저하, 집중력 감소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근육 경련이나 경직, 불안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뇌에 영향을 미치는 체액 이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b. 중증 증상:

혈중 나트륨 농도가 심각하게 낮아지면 뇌부종이 발생하며, 의식 저하, 경련, 혼수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저나트륨혈증으로 인해 뇌세포 내로 과도한 수분이 들어가며 뇌압이 상승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신속한 의학적 조치가 필요합니다.

 

4. SIADH의 진단:

SIADH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체내 나트륨 및 수분 상태를 확인하고 다른 저나트륨혈증의 원인을 배제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SIADH 진단에 사용하는 주요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저나트륨혈증 확인:

혈중 나트륨 농도가 135mmol/L 이하일 때 저나트륨혈증으로 진단합니다.

 

b. 혈장 삼투압 검사:

혈장 삼투압이 낮게 나타나며, 보통 275 mOsm/kg 미만입니다. 이는 혈액 내 수분이 과도하게 증가했음을 의미합니다.

 

c. 소변 검사:

소변 내 나트륨 농도가 40mmol/L 이상으로 나타나며, 소변 삼투압은 혈장 삼투압보다 높게 나옵니다. 이는 ADH의 영향으로 신장에서 수분이 재흡수되며 농축된 소변이 배출됨을 나타냅니다.

 

d. 배제 진단:

갑상선 기능 저하증, 부신 기능 저하증, 심부전 등의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저나트륨혈증을 배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갑상선, 부신 기능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SIADH의 치료:

SIADH의 치료는 저나트륨혈증을 교정하고, 환자의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저나트륨혈증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a. 수분 섭취 제한:

수분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치료의 기본입니다. 일반적으로 하루 수분 섭취량을 800–1000ml 이하로 제한하여 체내의 수분 과잉 상태를 완화합니다.

 

b. 고농도 식염수 투여:

저나트륨혈증이 심각한 경우 고농도의 식염수(3% 식염수)를 정맥 주사하여 혈중 나트륨 농도를 상승시킵니다. 단, 나트륨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면 뇌의 삼투압 불균형으로 삼투압성 수초탈락증후군(central pontine myelinolysis)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나트륨 농도의 변화를 신중하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c. 약물 치료:

바소프레신 길항제(예: 톨바프탄)를 사용하여 ADH 수용체를 차단하고 체내 수분 배출을 촉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약물은 SIADH에 의한 수분 저류를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루프 이뇨제(예: 푸로세미드) 또한 여분의 수분 배출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d. 원인 질환의 치료:

SIADH가 특정 질환에 의해 유발되었을 경우, 해당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폐암이 원인인 경우 암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중추신경계 질환이 원인일 경우 신경과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SIADH는 체내 수분 균형이 비정상적으로 조절되며 저나트륨혈증을 초래하는 복잡한 내분비 질환입니다.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면 저나트륨혈증의 악화로 인해 신경계 손상이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며, 근본적인 원인 질환을 찾아 제거함으로써 재발을 방지해야 합니다. SIADH의 관리와 예방을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증후군 (SIADH: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순환계통의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부전(Heart Failure)  (0) 2024.11.22
저혈압 (Hypotension)  (3) 2024.11.21
재생불량성 빈혈(aplastic anemia)  (3) 2024.04.07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2) 2024.03.17
혈전성 장애(Thrombotic Disorders)  (2) 2024.03.16